공지 [개요] 인도적 지원

 

인도주의적 지원은 무력 분쟁, 자연재해 등의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써, 생존 지원, 피해 완화, 인간 존엄성 보장을 위해 제공되는 물질적, 또는 물류적 지원을 의미한다. 성공적인 인도주의적 지원 프로젝트는 젠더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인도주의적 위기로 인해 발생하는 불평등한 영향 중 일부는 젠더 불평등에서 기인한다. 젠더 불평등은 위기 발생 이전부터 존재하며, 젠더에 따라 사회 내에서 지위와 역할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인도주의적 위기는 인구 집단별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IASC, 2020). 앞서 언급한 기존 사회의 상호 교차적인 불평등으로 인해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서 여성과 여아가 부정적인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고, 인도주의적 지원에 접근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도주의적 위기는 기존의 젠더 불평등을 악화시키기도 한다(IASC, 2018).

따라서, 인도주의적 지원 사업 설계 및 수행 과정에서의 젠더 통합은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니다.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에서 여성의 권한 강화 증진은 모두에게 적절한 인도주의적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개인의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를 보장하고, 공동체 전체에도 이익이 된다. 젠더에 대한 고려는 단기적으로는 효과적인 위기 대응에,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사회 변화 촉진에 이바지한다(IASC, 2018).

인도주의적 지원에서 젠더를 고려하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유엔과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최대 공통 목표인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의 다섯 번째 목표는 “양성평등 달성과 모든 여성과 여아의 역량강화”이다. 이는 인도주의적 지원에서도 젠더와 성평등을 인류의 보편적 사회문제이자 중요한 과제로서 다루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며, 젠더는 모든 목표 달성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UN Women, 2018). 다양한 국제기구는 기관별, 섹터별로 다양한 젠더 평등 정책, 젠더 마커 등을 개발하여 인도주의적 지원 프로그램이 남성, 남아, 여성, 여아를 포함한 다양한 젠더를 고려하였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참고문헌]

Inter-Agency Standing Committee(2018). The Gender Handbook for Humanitarian Action.

Inter-Agency Standing Committee(2020). Inter-Agency Humanitarian Evaluation on Gender Equality And The Empowerment of Women And Girls.

UN Women(2018). Turning Promises Into Action: Gender Equality in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ited Nations Terminology Database(2023). “humanitarian assistance”. United Nations Terminology Database. https://unterm.un.org/unterm2/en/view/59171aec-7207-4d95-b851-7b7b6d7b27ea (검색일자: 2024.01.15)

UN SDGs 협회(2023). “UN 지속가능개발목표”. http://asdun.org/?page_id=2183 (검색일자: 2024.01.15)


본 활동은 KOICA DAK ‘개발협력 젠더 부문 정책-사업 통합적 역량강화'의 일환으로 추진됩니다. @젠디